BASF RM
수용성 문제 발생 사례 |
알갱이 시드 발생 사례 |
1.조색제와
수지 차징(타는 것) 후 교반하지 않고 방치 후
다음 날 믹싱 스틱으로 교반할 시 잘풀리지 않고 알갱이 같은 시드 발생
사례 |
예방법)수지와
조색제 차징 후 믹싱스틱으로 충분히 저은 후 보관 플라스틱 용기
에 밀봉만 되어 있다면 1년 동안 사용 가능(검증완료) |
|
2.HB002 표준 수지와 HB034지건 희석제 교차 사용 했을 시 자주
발생됨 |
예방법)세트로 사용. 예)HB006속건수지는 HYDROMIX
TROPIC속건 희석제 |
|
3.단색 계통
백색 및 펄바탕색 차징할 시 수지와 조색제 탈 때 시편에 표기된 OAT
오닉스 엑티베이터를 넣고 교반하지 않고 바로 희석제 넣었을 때 풀리지 않고 알갱이
같은 시드 발생 |
예방법)수지+조색제 넣은 후 반드시 조금이라도 먼저 저은 후 희석제 넣고
저어주세요 |
|
4.높은온도와 낮은 습도로 인하여 스프레이 시 알갱이 발생 사례 |
예방법) 당황하지 마시고 그냥 건조 시키면 녹아서 가라 않습니다. |
|
투명 도장 후 광택저하 및 솔벤트 파핑 또는 핀홀발생
사례 |
|
1.수용성
베이스 도장 시 샌딩페이퍼로 먼지제거를 한 후 먼지제거 부위 베이스코트 도장
한 부분만 핀홀 및 솔벤트 파핑 발생 |
원인 및
예방법) 베이스코트 도막이 두꺼워 짐에 따른 희석제 증발 시 투명 표면에 영향을 줌
무더운 여름철 습도가 높은 날 자주 발생되기 때문에 드라이젯으로 먼지제거 부위 충분히
건조를 시킨 후 투명도장 |
|
2.광택저하 |
원인 및
예방법) 습도가 높은 날에 자주 발생되며 열건조를 하고 부스실 배기를 틀었을 때
외부 습도가 유입되어 재차 수용성 베이스코트에 침투되어 광택저하가 발생될 수도 있기
때문에 투명 도장 전 드라이젯으로 반드시 에어블로잉 하여 수분을 증발시켜야 됨 |
|
수용성 베이스코트 얼룩발생 |
|
1.은폐불량 충분하게 은폐가 되지 않으면 얼룩밸생 |
|
2,은폐도장 후
오랫동안 플래쉬 오프타임을 준 후 이펙트 도장 했을 시 녹아 들지 않고
그대로 발생되는 현상은 수용성 베이스 코트를 과도하게 건조시키면 후속도장 시 녹아들지
않기 때문에 다시 ?도장을 한 후 이펙트 도장해야 됨 |
|
3.스프레이
도장 시 소재와 직각이 아닌 비스듬한 상태로 발생되는 현상은 가급적 올바른
스프레이 방법으로 도장 |
|
4.은폐도장 후
얼룩이 없다면 굳이 이펙트 도장을 할 필요가 없음.시편 재현성 문제는 얼룩으로
인한 편차가 심한 것이 원인임 |